18310번: 안테나
첫째 줄에 집의 수 N이 자연수로 주어진다. (1≤N≤200,000) 둘째 줄에 N채의 집에 위치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1이상 100,000이하의 자연수로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Baekjoon 18310. 안테나
일직선 상의 마을에 여러 채의 집이 위치해 있다. 이중에서 특정 위치의 집에 특별히 한 개의 안테나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. 효율성을 위해 안테나로부터 모든 집까지의 거리의 총 합이 최소가 되도록 설치하려고 한다. 이 때 안테나는 집이 위치한 곳에만 설치할 수 있고, 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여러 개의 집이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.
집들의 위치 값이 주어질 때,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를 선택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예를 들어 N=4이고, 각 위치가 1, 5, 7, 9일 때를 가정하자.
이 경우 5의 위치에 설치했을 때, 안테나로부터 모든 집까지의 거리의 총 합이 (4+0+2+4)=10으로, 최소가 된다.
입력
첫째 줄에 집의 수 N이 자연수로 주어진다. (1≤N≤200,000) 둘째 줄에 N채의 집에 위치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1이상 100,000이하의 자연수로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안테나를 설치할 위치의 값을 출력한다. 단,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 값으로 여러 개의 값이 도출될 경우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한다.
❧ 입력 예시
4
5 1 7 9
❧ 출력 예시
5
❧ 정답
👉 min_position(arr, min)
: min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할 경우 모든 집까지의 거리의 총합 리턴
중앙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값이 최솟값일 경우, 위치 갱신
🔑 중앙 인덱스 이외의 값에서도 최솟값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... أ‿أ...ㅎ
❧ 모범답안
n = int(input())
dat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data.sort()
# 중간값 출력
print(data[(n - 1) // 2])
무조건 최솟값은 중앙에서만 나오므로 따로 좌,우측 비교 안해도 된다..! ꒰˘̩̩̩⌣˘̩̩̩๑꒱
'📊 Algorithm > Algorithm 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고리즘 일기] 166. 카드 정렬하기 (0) | 2022.01.27 |
---|---|
[알고리즘 일기] 165. 연구소 (0) | 2022.01.26 |
[알고리즘 일기] 163. 문자열 압축2 (0) | 2022.01.25 |
[알고리즘 일기] 162. 비밀번호 찾기 (0) | 2022.01.23 |
[알고리즘 일기] 161. 팩토리얼 0의 개수 (0) | 2022.01.22 |